본문 바로가기

C언어free

(2)
C언어 기초 문법- 구조체 기본 구조, 구조체 malloc,free 응용하기, 구조체 size 알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구조체 기본 구조, 구조체 malloc, free, 구조체 size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번 시간에는 malloc(), free()함수가 구조체에 적용시킨 것이 아니라 일반 자료형을 가진 변수에 적용을 시켰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구조체 배우는 김에 malloc(), free()함수를 적용시켜봤습니다. 일단 구조체는 왜 필요할까요? 구조체를 사용한다면 자료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알아보기도 쉽습니다. 그렇다면 구조체는 언제 사용할까요? 예를 들면 대학교에 입학한 학생들이 있습니다. 그 학생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싶을 때 필요합니다. 그들은 외모나 내적으로 같은 사람이 없지만 특징할 수 있는 것은 있습니다. 학번, 이름, 핸드폰번호, 학년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특..
C언어 기초 문법 - malloc, free, 메모리 동적할당을 담당하는 함수 안녕하세요! 오늘은 6번째 시간입니다. 7번째 시간에는 구조체를 다루도록하고 8번째 시간에는 포인터를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근데 이번 시간에 포인터와 연관되는 것이 나오는데 아주 간략하게만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소스코드를 보시겠습니다. Line 3 : b라는 변수가 int형 포인터로 선언이 되었습니다. 이 말이 무슨 뜻인가 하면 배열을 배웠던거 기억 나시나요? 배열로 선언된 변수는 0번째 원소의 주소 값으로 그 배열의 주소를 찾아냅니다. 왜냐하면 0번째 원소부터 순서대로 마지막 원소까지 있기 때문인데요. 포인터는 조금 다릅니다. 이 포인터라는 변수는 int 자료형을 가진 변수를 가리키는 역할을 합니다. 말 그대로 주소값을 저장해놓고 만약 컴파일 시에 그 주소값에 해당하는 값이 필요하다면 그 주소값..